불보살상의 형태는 크게 세가지로 나눈다.
바닥에 앉아 있는 좌상, 서 있는 입상, 의자에
앉아 있는 반가상이다.
자상과 입상은 흔히 볼 수 있지만 반가상은
보기가 드물다.
반가상은 좌상의 반가부좌 형태로 한쪽 발(주로 오른발)을
다른 다리의 무릎위에 올려 놓은 모습이다.
사유상은 일반 불상에서 취하고 있는 손 자세와 다르게
일반적으로 깊이 생각할 때 우리가 흔히 손을 턱에
괴듯이 하는 자세를 취한다.
그래서 이 두가지를 합쳐 반가사유상이라 한다.
반가사유상은 특히 미래에 부처로 오실 미륵보살의
보살상으로 제작되었다는 게 독특하다.
자비의 화신인 미륵보살이 어떻게 각양각색의
중생을 행복과 해탈의 길로 이끌까 하고 깊이
사색하시는 듯 하다.